본문으로 이동

(148209) 2000 CR105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0 CR105
2000 CR105은 가운데 왼쪽 빨간색 궤도 중 작은 색이며, 가상의 제9행성은 초록색으로 나타나 있다.
2000 CR105은 가운데 왼쪽 빨간색 궤도 중 작은 색이며, 가상의 제9행성은 초록색으로 나타나 있다.
발견
발견자 마크 윌리엄 부이
발견일 2000년 2월 6일
명칭
임시 이름 2000 CR105
소행성 분류
소행성군 TNO · E-SDO(분리천체)[1]
궤도 성질
(역기점 2016년 1월 13일 (JD 2457400.5))
궤도 긴반지름(a) 227.95 AU
근일점(q) 44.286 AU
원일점(Q) 411.62 AU
공전 주기(P) 3441.69 (1257076 )
3305년 (질량중심)[2]
평균 공전 속도 1.63 km/s
궤도 경사(i) 22.71773°
궤도 이심률(e) 0.80572
승교점 경도(Ω) 128.24627°
근일점 편각(ω) 317.219°
평균 근점 이각(M) 5.28267°
물리적 성질
분광형 파랑[3]
지름 328 km[3]
242 km[4]
반사율 0.04 (추정)[3]
겉보기등급 23.8[5]
절대등급(H) 6.3[6]
평균 온도 약 19 K

(148209) 2000 CR105해왕성 바깥 천체의 일종으로, 2015년 기준 태양계 천체 중 지구에서 열 번째로 먼 천체로 분리천체로 간주되고 있다.[7][8] 궤도는 매우 찌그러져 있고, 태양과의 평균 거리는 222 AU로 3305년마다 태양을 한 바퀴 돈다.[6]

설명

[편집]

마이클 E. 브라운의 웹사이트에서는 이 천체의 반사율을 0.04로 추정하여 지름을 328 km로 추산하였고, 왜행성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3][9] 이 천체의 색이 해왕성 바깥 천체의 일반적인 색인 파란색을 띄기 때문에, 반사율이 추정치보다 더 낮을 가능성이 높다.[3] 하지만 만약 반사율이 추정치보다 높다면, 지름이 추정치보다 반 이상 작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148209) 2000 CR10590377 세드나산란원반 천체로, 태양에 가장 가까이 가도 해왕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천체들이 어떻게 지금과 같은 궤도에 들어갔는지는 수수께끼이며, 추측만 무성하다. 궤도의 형성에 대한 이론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 태양계 근처를 지나가던 항성에 의해 기존 궤도를 이탈하였을 것이다.[10][11]
  • 현재 발견되지 않은 가상의 행성에 의해 기존 궤도를 이탈하였을 것이다.[12]
  • 현재 발견되지 않은 태양의 쌍성에 의해 기존 궤도를 이탈하였을 것이다.[12]
  • 태양계 형성 초기에 다른 행성계에서 포획되었을 것이다.[10] 케년과 브롬리에 따르면, 태양이 자신과 비슷한 별과 형성 초기에 만났을 가능성은 15%이고, 행성 교환이 일어났을 가능성은 1%이다. (148209) 2000 CR105은 포획된 천체일 가능성이 세드나보다 2~3배 높다.[10]

(148209) 2000 CR105는 궤도 긴반지름이 150 AU가 넘는 천체 중 최초로 발견된 천체로, 근일점 편각이 340 ± 55°에 달한다.[13] 현재까지 긴반지름이 100 AU가 넘고 근일점이 42 AU를 넘는 천체는 11개밖에 발견되지 않았다.[14] (148209) 2000 CR105제9행성의 영향을 받으리라고 예상된다.[15]

2018년 4월 11일 현재 태양계에서 가장 먼 천체들[16]
천체명 태양으로부터 거리 (AU) 겉보기등급 절대등급 (H)
현재 근일점 원일점
V774104 103 50 150 24 4
에리스 96.14 37.8 97.6 18.7 −1.1
2014 UZ224 90.93 38.0 179.8 23.2 3.5
2015 TH367 89.17 28.6 139.7 26.2 6.6
(225088) 2007 OR10 87.96 33.0 100.8 21.7 1.8
세드나 85.14 76.0 939 21.0 1.5
2013 FS28 84.83 34.6 347.6 24.5 4.9
2014 FC69 84.72 40.3 106.9 24.1 4.6
2006 QH181 83.85 37.8 96.7 23.6 4.3
2012 VP113 83.65 80.5 438 23.4 4.0
2015 TG387[17] 83.00 65.0 2000 24.64 5.3
2015 UH87 82.87 34.7 90.1 25.3 6.0
2013 FY27 80.07 36.1 81.8 22.1 3.0
2015 TJ367 78.66 33.5 127.5 25.7 6.7
2017 FO161 78.62 33.1 93.9 24.2 5.2
2010 GB174 71.89 48.7 693 25.1 6.5
2016 TS97 71.39 36.2 71.6 24.8 6.1
2014 FJ72 71.17 38.7 152.2 24.2 5.6
2012 FH84 68.75 45.8 80.6 25.7 7.3
2015 GR50 68.38 35.6 78.6 25.1 6.7
2015 GP50 67.95 40.3 70.3 24.8 6.5
2013 FQ28 67.76 48.7 80.6 24.4 6.0
2014 UD228 66.14 36.4 73.0 24.4 6.1
2016 CD289 65.83 36.8 75.3 25.6 7.3
2013 UJ15 64.99 36.3 69.2 25.2 7.0
2015 KV167 64.47 38.2 65.3 25.4 7.2
2014 FL72 64.44 38.2 170.4 25.0 6.8
2015 RL258 64.22 34.7 67.8 24.7 6.5
2014 FD70 64.17 38.6 69.3 25.0 6.9
2011 GM89 63.28 37.2 68.8 25.6 7.1
2015 RR245 63.27 33.7 129.2 22.1 3.9
2014 SU349 63.09 30.8 109.8 25.0 7.0
2013 AT183 62.60 36.0 88.1 22.0 4.7
2015 VG157 62.34 39.0 68.5 25.5 7.5
2014 FE72 62.31 36.3 4274.0 24.1 6.1
2017 DO121 62.23 26.7 185.6 25.6 7.6
2014 SV349 61.71 34.2 89.0 23.0 5.0
(148209) 2000 CR105 61.59 44.3 412 23.9 6.3
2015 RX245 61.03 45.5 768.9 24.2 6.2
2008 ST291 60.74 42.4 154.5 22.2 4.2
2014 FM72 60.40 34.4 76.6 24.1 6.2
2017 DP121 60.34 40.5 60.4 25.1 7.2
2014 FF72 60.18 37.1 63.3 24.8 6.9
2003 QX113 60.11 36.7 62.1 22.5 4.7
2015 TG367 59.70 37.6 66.3 25.1 7.3
2015 RK258 59.69 35.8 111.8 24.9 7.1
2015 KH162 59.63 41.5 82.8 21.6 3.9
2013 JQ64 59.22 22.6 76.0 24.4 6.2
2014 FL70 59.03 33.1 77.0 24.0 6.5
발견된 태양계 천체 중 현재 해왕성보다 두 배 이상 먼 천체들을 나열했음.[16]

보기  토론  편집  역사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Marc W. Buie (2006년 12월 21일).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48209”.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8년 7월 18일에 확인함. 
  2. JPL Horizons On-Line Ephemeris System output. “Barycentric Osculating Orbital Elements for 2000 CR105”. 2016년 1월 25일에 확인함.  (Ephemeris Type:Elements and Center:@0)
  3. Michael E. Brown. “How many dwarf planets are there in the outer solar system? (updates dail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1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16일에 확인함. 
  4. “List of Known Trans-Neptunian Objects”. Johnston's Archive. 2014년 4월 5일에 확인함. 
  5. “AstDys (148209) 2000CR105 Ephemerides”.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09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6일에 확인함. 
  6.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148209 (2000 CR105)”. 2016년 4월 11일에 확인함. 
  7. Jewitt, David; Morbidelli, Alessandro; Rauer, Heike (2007). 《Trans-Neptunian Objects and Comets: Saas-Fee Advanced Course 35. Swiss Society for Astrophysics and Astronomy》. 베를린: Springer. 86쪽. ISBN 3-540-71957-1. 2018년 4월 20일에 확인함. 
  8. Lykawka, Patryk Sofia; Mukai, Tadashi (2007년 7월). “Dynamical classifica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Probing their origin, evolution, and interrelation”. 《Icarus》 189 (1): 213-232. doi:10.1016/j.icarus.2007.01.001. 
  9. 아닐 가능성도 있다.
  10. Kenyon, Scott J.; Bromley, Benjamin C. (2004). “Stellar encounters as the origin of distant Solar System objects in highly eccentric orbits”. 《Nature》 432 (7017): 598–602. arXiv:astro-ph/0412030. Bibcode:2004Natur.432..598K. doi:10.1038/nature03136. PMID 15577903. 
  11. Morbidelli, Alessandro; Levison, Harold F. (2004). “Scenarios for the Origin of the Orbits of the Trans-Neptunian Objects 2000 CR105 and 2003 VB12 (Sedna)”. 《The Astronomical Journal》 128 (5): 2564–2576. arXiv:astro-ph/0403358. Bibcode:2004AJ....128.2564M. doi:10.1086/424617. 
  12. Matese, John J.; Whitmire]], Daniel P.; Lissauer, Jack J. (2005년 12월). “A Widebinary Solar Companion as a Possible Origin of Sedna-like Objects”. 《Earth, Moon, and Planets》 97 (3-4): 459–470. 2018년 4월 20일에 확인함. 
  13.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a > 150 (AU) and q > 30 (AU)”. JPL Solar System Dynamics. 2014년 4월 9일에 확인함. 
  14. “MPC list of a>100 and q>42”. 소행성체 센터.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15. Brown, Mike (2016년 2월 12일). “Why I believe in Planet Nine.”. 《FindPlanetNine.com》. 2019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0일에 확인함. 
  16. “AstDyS-2, Asteroids - Dynamic Site”. 2018년 4월 3일에 확인함. Objects with distance from Sun over 59 AU 
  17. Astronomer Michele Bannister (2018-03-29)

외부 링크

[편집]